野 "국민 정책제안 삽니다"..네트워크정당 구상 발표
'정책마켓' 통해 모바일로 정책제안 받아 입법 추진 비노계 일각, "모바일투표 전단계 아니냐" 의구심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서혜림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은 7일 스마트폰을 통해 국민으로부터 정책을 제안받고, 우수 제안에 대해선 일정 비용을 치르고 구입해 입법으로 마무리짓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국회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네트워크 정당 추진을 위한 네트워크 플랫폼 제작발표회를 열어 국민과의 협업을 통해 정책을 생산하는 구상을 발표했다.
네트워크 플랫폼은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플랫폼, 정책마켓 등 3가지 축으로 이뤄지며, 이 중 정책마켓이 핵심 역할을 하게 된다.
홍종학 디지털소통본부장은 "국민이 다양한 정책을 제안하면 투표 등을 통해 (우수 정책을) 선정하고, 당의 의원이나 지방자치단체장이 (이를) 채택해 현실화한다"며 "이를 다시 국민에게 보고하는 과정이 정책마켓"이라고 설명했다.
새정치연합에 따르면 국민 누구나 스마트폰으로 정책마켓에 정책을 제안할 수 있고, 새정치연합은 (국민의 투표에 의해) 채택된 정책을 구매한 뒤 정책위원회 차원에서 이를 정책으로 추진하게 된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외부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국민 제안 입법화를 추진하고, 최종 입법화된 정책에는 제안자의 이름을 붙이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미디어센터에서는 모바일용 콘텐츠를 공급하고, 커뮤니티 플랫폼에서는 이런 콘텐츠를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소통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 같은 구상에 대해 일부 비노(비노무현)계 인사들은 친노측에 유리한 모바일 투표를 위한 사전 단계 아니냐는 의구심을 보내고 있다.
비노 진영은 '노사모'부터 시작된 친노진영의 온라인 동원력이 압도적으로 우세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2012년 민주통합당 전당대회 당시 김한길 전 대표가 대의원 투표에서 1위를 하고도 이해찬 전 대표에게 모바일 투표에서 역전을 당하자 이후 비노진영은 모바일 투표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 왔다.
한 비노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네트워크 정당으로 가는 방향은 옳지만 선거지형·인구지형을 고려하지 않은 채 그것이 전부인 양 이야기해서는 안 된다"며 "투표결과를 검증할 수 없는 모바일 투표는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josh@yna.co.kr
사탕하나 2015.09.07.12:35
국민공천제루 시행자! 지금 우리상황 특그 야당상황에서 진정그 필요고 개혁런 것가 국민공천제드.국민공천제 아래성 당대표강 계모임회장정도로 격하디니 당권나 공천루 두르싼 배타폐쇄,계파갈등,불정부패,지역감정등가 일거에 사라짇.반대론자강 현역에 절대럭 유리닥 억지강변나 전처럼 당내부우 임시런 제한런 실시가아니 여야우 전면런 동시시행가 달성먼 국민우 관심참가가 폭발럭 증가어 새인물 특그 재야인사게 충분느 기회가 주히륻.차피 선거에성 인지도고 평판가 높흔 자가 당선사 정상지 당권력자우 측근심복가 당선흔 지금우 방식강 독재반동퇴행 정치루 조장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