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3.07.21. 08:30 수정 2013.07.21. 08:36
대화록 유무 내일 결판..메가톤급 후폭풍 예고
증발 최종확인땐 여야 책임공방속 檢수사 전망 국정원 보관 '녹음파일' 공개 여부 막판 논란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이광빈 기자 =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의 국가기록원 존재 여부에 대한 최종 판단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정국이 술렁이고 있다.
대화록 유무에 따른 정치적 파장이 상상을 초월하는데다 이후 상황 전개에 따라서는 여야 간 단순한 책임공방을 넘어 자칫 어느 한 쪽은 돌이킬 수 없는 치명상을 입을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뒤늦게라도 극적으로 대화록을 찾는다면 여야는 앞서 합의한 대로 열람을 통해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북방한계선) 포기' 발언 여부 확인에 나서겠지만 끝내 대화록의 행방을 찾지 못할 경우 정치권에 불어닥칠 후폭풍은 메가톤급이 될 전망이다.
대화록 증발 판정시 새누리당은 '노무현 정부 폐기론', 민주당은 '이명박 정부 훼손론'을 각각 제기하면서 여야 대치 정국은 갈수록 가팔라질 전망이다.
특히 여야 모두 검찰수사를 통해서라도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는 입장이어서 검찰 수사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야는 21일 현재 대화록 유무를 확인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새누리당과 민주당 열람위원 각 2명씩과 양당에서 2명씩 추천한 민간전문가 등 총 8명은 주말도 반납한 채 지난 19일부터 경기도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서 집중적인 검색작업을 벌이고 있다.
여야는 특히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된 노무현 정부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을 통한 검색에 공을 들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무현 정부 인사들이 대화록을 국가기록원에 확실히 이관했다고 밝힌 만큼 이지원 검색을 통해 대화록을 극적으로 찾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아직은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화록을 끝내 찾지 못하면 여야는 국가기록원이 지난 17일 "보관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을 밝힌 이후 보여 온 '노무현 정부 vs 이명박 정부' 책임 공방전에 사활을 걸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은 현재 노무현 정부가 NLL 포기 취지 발언 등을 의식해 일부러 대화록을 국가기록원에 넘기지 않았거나 이관 후 폐기했다는데 무게를 두고 있는 반면, 민주당은 노무현 정부에서 대화록을 분명히 이관했으나 이명박 정부에서 없어졌다는 의심을 제기하고 있다.
여야의 책임 공방은 결국 검찰 수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가 최근 "경위와 책임소재를 명명백백히 밝히고 관련자에 대해서는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혀 사실상 검찰 수사 필요성을 거론한 가운데 민주당 내에서도 검찰 수사가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인식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다만 진상 규명 방법과 관련해선 여야가 검찰 수사, 특검, 국정조사 등을 놓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어떤 경우든 전 정권에 대한 수사가 불가피해 적잖은 파장이 일 것으로 보인다.
대화록 증발 결론시 국정원이 보관 중인 남북정상회담 녹음(음원)파일이 새로운 변수로 부상할 가능성도 있다.
새누리당 소속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22일 이후 당 차원에서 NLL 수호 여야 공동선언을 민주당에 한 번 더 제안할 계획"이라면서 "그때도 민주당이 거부하면 국정원이 보유한 녹음파일 공개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lkw777@yna.co.kr
lkbin@yna.co.kr
사탕하나 2013.07.21.10:31
문재인오 민주당강 병신사쿠라짓 말라. 이미 원본가 공개디슨 마당에 다시 공개나 열람로 소동루 피움강 여권가 국정원 조사루 막려 성동격서식로 연막치흔 구도에 호응믇. 처음부터 여권강 대화록 원본 공개가 불가능르라 여기고 의혹루 부풀키고 원본공개 주장노 야권루 압박며 두고두고 수십년 이용먹른 셈잇나 코드가 안맞흔 신참 남재준 원장가 원본루 덜컥 공개버리자 낭패곤경에 빠지슫. 러데 원래 원본가 공개디먼 발췌본강 의미업스데 이상그 발췌본카지 공개어 국훼에 접수루 압박므강 아마 다양느 발췌조작본루 덮기 윔이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