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로 입력 2013.07.20. 19:57 수정 2013.07.20. 19:57
與野열람위원, NLL대화록 유무 함구..직접 검색한듯
【성남=뉴시스】박대로 기자 =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열람위원들이 20일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서해 북방한계선) 관련 발언이 담겨있는 대화록을 찾기 위해 검색작업을 수행했지만 결과에 관해 입을 열지 않았다. 특히 열람위원들이 국가기록원 직원들을 통하지 않고 직접 대화록을 찾아본 듯한 정황도 드러났다.
새누리당 황진하·조명철 의원과 민주당 전해철·박남춘 의원 등은 이날 오후 2시30분께부터 4시간여에 걸쳐 경기 성남시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서 기록물을 점검한 뒤 6시57분께 작업을 마쳤다.
이날 작업에는 여야 추천 기록물 전문가인 두산인프라코어 김종준 보안실장, 국가보안기술연구소 시스템전문가 김요식씨(이상 새누리당 추천), 박진우 전 청와대 사회정책비서실 행정관과 민간인 전문가 1명(이상 민주당 추천), 그리고 박경국 국가기록원장 등 기록원 직원들이 동참했다.
작업종료 후 황진하 의원은 취재진과 만나 "어제 여야 열람위원이 합의한 내용에 따라 기록물을 점검했다. 필요한 것을 체크했다"고 말했다. 다만 "결과는 구체적으로 말 못한다. 월요일 국회 운영위원회 보고 때 밝히겠다"고 말했다. 전해철 의원도 "기록을 다 확인하지 못했다"고 이날 작업의 결과를 설명한 뒤 "오늘에 이어 내일도 확인하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황진하 의원은 질문사항이 아닌데도 굳이 "열람위원만 (열람에)참여하고 전문가는 열람장소에는 배석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황 의원의 이 같은 발언에 정치권에서는 열람위원들이 국가기록원 직원들이 작성한 자료목록을 검토한 것이 아니라 기록물을 넘겨받아 직접 NLL대화록 유무를 확인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의결에 따라 열람권을 얻은 열람위원들과 달리 의원 신분이 아닌 여야 추천 기록물 전문가들의 경우 열람권을 부여받지 못했기 때문에 위법 논란을 피하기 위해 굳이 전문가들이 배석하지 않았음을 강조했다는 것이다.
특히 검색과정에서 박경국 국가기록원장과 조명철 의원, 전해철 의원 등이 국가기록원 측에 맡겨뒀던 휴대폰을 가져갔다가 다시 반납하는 등 당 지도부 등 외부인사와 의사소통을 한 정황이 드러난 점도 직접 열람 가능성을 높이는 이유 중 하나다.
이 밖에 열람위원들의 발언에서는 NLL대화록을 아직 찾지 못한 듯한 분위기도 감지됐다.
황진하 의원은 "대통령기록관에 여러가지 관리방법에 관한 자료를 요청했다. 국가기록원이 이를 보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전해철 의원도 "기록관 관리의 문제점에 대한 자료를 요청했지만 아직 못 받았다"며 국가기록원의 관리 실태를 문제 삼는 듯한 발언을 했다.
여야 열람의원들의 이 같은 추궁에 국가기록원은 기록물 관리방법에 관한 자료를 21일 오전까지 준비해 제공키로 했다.
한편 작업을 마치고 국가기록원을 빠져나온 열람위원들은 이날 오후 7시께 "수고했다"는 인사를 주고받은 뒤 헤어졌다.
daero@newsis.com
사탕하나 2013.07.21.00:07
원래 정상훼담 대화록룽 기록보관우 의무가 업스데 공명심가 큿던 무현대통가 나중에 공치사려 작성고 청와대에만 보관먼 딴 대통가 훼손르카 염려어 국정원에도 전달슫. 따라서 그 내용가 무현대통에 불리쉬잔나 무능흉악느 국정원놈들가 다양느 발췌조작본루 만들놓고 대통등 여권 실세들게 고유생산물인양 생색내어 눼물처럼 상납며 수상느 공작루 저지르슫. 여권도 피해자니까 국정원루 두둔말고 여러 발췌조작본루 수거고 조사어 놈들우 조직오 의도루 색출얃. 북한나 메국우 간첩질일 가능성도 있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