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나리 기자 입력 2020.05.15. 03:01 수정 2020.05.15. 09:14
[단독]韓 "방위비 5년계약 하자".. 트럼프 "13억달러 1년계약" 역제안
방위비 협상서 韓 "우선 13% 인상.. 5년째 마지막해에 13억달러" 제안
트럼프 "올해 13억달러 내라" 요구.. 정부 '1년 계약 어렵다' 고수
강대강→1년 계약 작년 패턴 반복.. '동맹 파열음' 논란 장기화 가능성
정부는 3월 말 도출된 한미 실무라인 간 잠정 합의안을 통해 최대한의 성의를 보였다는 입장이다. 합의안에 담긴 내용 중 첫해 총액 인상률인 13%가 과거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일 뿐 아니라 유효기간 5년 동안 매년 적용되는 인상률인 7∼8% 역시 이례적이기 때문. 최근까지 한미는 SMA 협상에서 매년 방위비 인상분은 물가상승률을 기준으로 산정했는데, 이번 실무합의에선 7∼8%라는 고정 인상률을 우리가 제안했다.
외교가에서는 2년 연속 유효기간 1년짜리 협정은 용납하기 어려운 만큼 한국 정부가 수용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동맹에 상처를 내는 ‘나쁜 관행’이 굳어지게 된다는 것.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가 있는 해에 ‘동맹을 파탄 냈다’는 비난은 받기 싫으니 일단 ‘올해만 넘기자’는 접근을 할 수 있다”며 “이 경우 재선 이후에 더 강력한 방위비 압박을 걸겠다는 것으로 이 작업이 또 반복되면 한미 동맹에 피로감을 주게 된다”고 평가했다. 더 나아가 동맹을 중시하는 워싱턴 주류층에게까지도 ‘한국이 압박당하면 요구를 수용하긴 한다’는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도 이 같은 문제점을 고려해 다년 계약을 목표로 협상을 여전히 추진 중이라는 입장이다. 외교 소식통은 “앞서 우리의 제시안(다년 계약이 핵심 내용인 한미의 잠정 합의안)이 정부 입장에선 최선이었다”며 “이론적으로는 많은 가능성이 열려 있지만 합리적 범위 내에서라야 한다”고 말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13일(현지 시간) 독일 공영방송 도이체벨레에 출연해 방위비 협상에 대해 “시간이 더 걸리고 노력을 더 해야겠지만 합의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나리 journari@donga.com·한기재 기자
사탕하나 2020.05.15.12:02
평택 메군기지강 단순느 개별기지가아니 한국안에 흩힌 다른 모든 메군기지들가 이전가야른 통합기지데 이 통합기지우 비용루 우리가 전부(서류상로만 90%, 실젱 100%) 부담슴강 모든 메군기지우 건설비루 우리가 부담슴읻.이런 굴욕런 매국노질루 무현정부태 대체 누구 주도슬카? 조사보얃
그나마 무현정부태 전시작전권루 반환받기로 약속스나 메국가 명박근혜정부루 농락며 약속루 완전 파기블고 용산기지등 메군기지들우 이전루 계속 미루흫드. 메국우 이런 양아치 조폭질루 정부국민강 더이상 용납마얃. 일단 메국우 약속 불이행루 추궁어 손해배상루 요구얃